"매미보다 더 세다" 태풍 '마이삭' 북상...얼마나 위험한가? / YTN
■ 진행 : 이승민 앵커 ■ 출연 : 윤기한 / 기상청 통보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태풍 바비가 물러간 지 일주일도 안 됐는데 더 센 태풍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9호 태풍 마이삭이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그리고 강해진 상태로 이번 주 중반 우리나라에 상륙할 예정인데요. 자세한 예보, 전망 기상청 연결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윤기한 기상청 통보관이 전화로 연결돼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지금 태풍 마이삭이 우리나라를 향해서 올라오고 있다고 하는데 지금은 어디쯤 있는 겁니까? [윤기한] 오늘 아침 9시 현재 일본 오키나와 남쪽 약 470km 해상에서 규모는 955헥토파스칼 그리고 중심에서 바람부는 곳은 초속 43m, 그리고 북북서로 한 시간당 31km 이동을 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러면 우리나라에는 언제쯤 오게 되는 건가요? [윤기한] 일단 2일 밤 정도 제주도 동쪽 해상을 지나서 3일날 새벽 전후로 해서 경남 해안으로 도착을 해서 동해안 쪽을 지날 것으로 그렇게 예상하고 있습니다. [앵커] 저희가 지금 태풍 마이각의 최근접 시각을 지역별로 보여드리고 있는데요. 지금 통보관님도 보이시죠? 보면 우리나라에 가장 근접하는 시간이 2일 7시가 되겠네요. 저녁 7시겠군요? [윤기한] 저녁 7시 정도 되고 실질적으로 태풍이 조금씩 현재 위치에 따라서 약간 늦어졌다 빨라졌다 하기 때문에 시간대는 약간씩 변동이 있습니다. 그런데 오늘 아침 저희가 나간 최신 정보에 따르면 3일날 새벽경에 일단 경남 해안으로 상륙하는 것이 현재 시점에서는 가장 큰 확률로 보입니다. [앵커] 그러면 지역별로 가장 위험한 곳은 어디라고 봐야 될까요? [윤기한] 이번 태풍은 저번 바비처럼 서해상을 지나는 게 아니고 우리나라 경남 해안 동쪽을 지나가기 때문에 그리고 내륙하고 되게 가깝습니다. 실질적으로 내륙을 지나거나 아니면 내륙에 굉장히 가깝기 때문에 이 진로에 가까이 있는 제주도, 남해안, 동쪽 지방이 다 위험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앵커] 남해안과 동쪽 지방이 전체적으로 다 위험하다. 그런데 지금 보면 앞서서 이 태풍의 속도가 조금 유동적이다라고 말씀하셨는데 그러면 태풍의 진로가 바뀔 가능성은 없습니까? [윤기한] 태풍 진로는 한 세 가지 요인에 의해서 바뀌는데요. 첫째는 현재 위치가 조금 달라지면 현재 위치가 한 1km 정도만 달라져도 태풍의 오차가 굉장히 커지기 때문에 현재 위치에 의해서 달라지는 경향이 있고요. 이번 태풍은 북서쪽으로 가다가 우리나라 북동쪽1일 오후 정도 틉니다. 방향을 트는 건 전환이라고 하는데 그 방향 트는 시각이 빠르거나 늦어짐에 따라서 우리나라 쪽 서쪽으로 가느냐 동쪽으로 가느냐 오차가 있고요. 또 하나는 우리나라 주변의 기압계에 의해서 달라지는 요인인데 이게 한 세 가지 요인에 의해서 아직은 경남 해안으로 상륙할 가능성이 큰데 서쪽으로 치우치느냐 아니면 부산 쪽으로 더 치우질 것인지, 바다 쪽으로 나갈 건지는 아직은 변동성이 있는 것으로 말씀을 드릴 수 있습니다. [앵커] 아직까지 이 태풍의 진로가 유동적이기 때문에 날씨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을 하실 필요가 있을 것 같은데 지금까지의 진로만 보면 이게 2003년 태풍 매미와 비슷하다면서요? [윤기한] 현재 진로로 본다고 하면 매미와 굉장히 비슷한 진로를 겪고 있습니다. [앵커] 그런데 만약에 이게 지금보다도 서쪽으로 더 가게 되면 태풍 루사와 비슷해진다고 하거든요? [윤기한] 이런 진로를 거치... (중략) ▶ 기사 원문 : https://ift.tt/34O0vWU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View on YouTube
■ 진행 : 이승민 앵커 ■ 출연 : 윤기한 / 기상청 통보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태풍 바비가 물러간 지 일주일도 안 됐는데 더 센 태풍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9호 태풍 마이삭이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그리고 강해진 상태로 이번 주 중반 우리나라에 상륙할 예정인데요. 자세한 예보, 전망 기상청 연결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윤기한 기상청 통보관이 전화로 연결돼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지금 태풍 마이삭이 우리나라를 향해서 올라오고 있다고 하는데 지금은 어디쯤 있는 겁니까? [윤기한] 오늘 아침 9시 현재 일본 오키나와 남쪽 약 470km 해상에서 규모는 955헥토파스칼 그리고 중심에서 바람부는 곳은 초속 43m, 그리고 북북서로 한 시간당 31km 이동을 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러면 우리나라에는 언제쯤 오게 되는 건가요? [윤기한] 일단 2일 밤 정도 제주도 동쪽 해상을 지나서 3일날 새벽 전후로 해서 경남 해안으로 도착을 해서 동해안 쪽을 지날 것으로 그렇게 예상하고 있습니다. [앵커] 저희가 지금 태풍 마이각의 최근접 시각을 지역별로 보여드리고 있는데요. 지금 통보관님도 보이시죠? 보면 우리나라에 가장 근접하는 시간이 2일 7시가 되겠네요. 저녁 7시겠군요? [윤기한] 저녁 7시 정도 되고 실질적으로 태풍이 조금씩 현재 위치에 따라서 약간 늦어졌다 빨라졌다 하기 때문에 시간대는 약간씩 변동이 있습니다. 그런데 오늘 아침 저희가 나간 최신 정보에 따르면 3일날 새벽경에 일단 경남 해안으로 상륙하는 것이 현재 시점에서는 가장 큰 확률로 보입니다. [앵커] 그러면 지역별로 가장 위험한 곳은 어디라고 봐야 될까요? [윤기한] 이번 태풍은 저번 바비처럼 서해상을 지나는 게 아니고 우리나라 경남 해안 동쪽을 지나가기 때문에 그리고 내륙하고 되게 가깝습니다. 실질적으로 내륙을 지나거나 아니면 내륙에 굉장히 가깝기 때문에 이 진로에 가까이 있는 제주도, 남해안, 동쪽 지방이 다 위험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앵커] 남해안과 동쪽 지방이 전체적으로 다 위험하다. 그런데 지금 보면 앞서서 이 태풍의 속도가 조금 유동적이다라고 말씀하셨는데 그러면 태풍의 진로가 바뀔 가능성은 없습니까? [윤기한] 태풍 진로는 한 세 가지 요인에 의해서 바뀌는데요. 첫째는 현재 위치가 조금 달라지면 현재 위치가 한 1km 정도만 달라져도 태풍의 오차가 굉장히 커지기 때문에 현재 위치에 의해서 달라지는 경향이 있고요. 이번 태풍은 북서쪽으로 가다가 우리나라 북동쪽1일 오후 정도 틉니다. 방향을 트는 건 전환이라고 하는데 그 방향 트는 시각이 빠르거나 늦어짐에 따라서 우리나라 쪽 서쪽으로 가느냐 동쪽으로 가느냐 오차가 있고요. 또 하나는 우리나라 주변의 기압계에 의해서 달라지는 요인인데 이게 한 세 가지 요인에 의해서 아직은 경남 해안으로 상륙할 가능성이 큰데 서쪽으로 치우치느냐 아니면 부산 쪽으로 더 치우질 것인지, 바다 쪽으로 나갈 건지는 아직은 변동성이 있는 것으로 말씀을 드릴 수 있습니다. [앵커] 아직까지 이 태풍의 진로가 유동적이기 때문에 날씨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을 하실 필요가 있을 것 같은데 지금까지의 진로만 보면 이게 2003년 태풍 매미와 비슷하다면서요? [윤기한] 현재 진로로 본다고 하면 매미와 굉장히 비슷한 진로를 겪고 있습니다. [앵커] 그런데 만약에 이게 지금보다도 서쪽으로 더 가게 되면 태풍 루사와 비슷해진다고 하거든요? [윤기한] 이런 진로를 거치... (중략) ▶ 기사 원문 : https://ift.tt/34O0vWU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View on YouTube
Nhận xét
Đăng nhận xét